-
반응형
* 이전글과 내용이 이어집니다
2023.02.06 - [PM부트캠프/Project 01 위스키체인지] - [원사이클 도전] 문제 정의하기 : 5 Whys [패스트캠퍼스 부트캠프 : PM 1기]
문제 해결 우선순위를 정량적으로 판단하기 : ICE Score
팀원 7명이 각자의 5Whys에 대해 발표를 한 후 보팅을 통해 각자 대표할만한 주제를 하나씩 선정하였다. 7가지 주제 모두가 좋은 문제와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었지만,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었다. 문제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가장 임팩트 있는 아이디어에 집중하기 위해 ICE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였다.
ICE Score 란?
ICE Score는 우선순위를 판단(Prioritization) 하기 위한 정량적인 프레임워크이다. 점수를 매기는 기준은 3가지로 각각 10점 만점씩 총 30점을 만점으로 본다. 보통 집계를 통해 ICE Score가 높게 나온 아이디어를 우선순위로 지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Ease 점수가 낮더라도 Imact가 뛰어나다면 그 아이디어를 실행하기도 한다.
Impact : 실험이 성공하면 임팩트가 얼마나 클까?
· 점수 예시 : 0점 - 아무 반응 없을 듯 / 10점 - 출시되는 순간 전 세계가 놀란다
- 10점 : 전환율이 100% 이상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 또는 트래픽이 매우 많아 20%만 개선되어도 성공
- 5점 : 전환율이 50% 이상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 또는 트래픽이 매우 많아 10%만 개선되어도 성공
- 1점 : 전환율이 10% 이상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 또는 트래픽이 매우 많아 5%만 개선되어도 성공
Confidence : 실험이 성공할 확률은 얼마나 될까?
· 점수 예시 : 0점 - 아무런 근거가 없음 / 10점 - 무조건 잘 될 것이라는 확신이 있음
- 10점 : 하면 무조건 성공한다.
- 5점 : 좋은 사례가 있다.
- 1점 : 그냥 고쳐졌으면 좋겠다.
Ease : 실험 구현에 얼마나 걸릴까?
· 점수 예시 : 0점 - 수행하기 너무 어렵거나, 너무 오래걸리는 수준 / 10점 - 오늘 바로 개발해서 런칭까지 가능
- 10점 : (워킹데이 기준) 당일에 바로 구현 가능
- 5점 : (워킹데이 기준) 5일은 투자해야 함(=1주일) — 잘 모르겠으면 일단 '5'로 적어두기
- 1점 : (워킹데이 기준)10일 이상(=2주일)
아이디어를 정량화 하기
Business man illustrate Product Planning option Illustration by IconScout Store
일반적으로 ICE Score를 값을 구할 때는 위와 같은 표를 활용할 것이다. 그런데 우리 팀의 경우 하나의 프로덕트의 백로그 아이디어를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아예 다양한 프로덕트가 될 아이디어 중에서 선별하는 것이었기에 표 형태를 조금 다르게 만들었다.
그리고 아직 컨피던스와 이즈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해서 임팩트 위주로 10점 만점으로 점수를 냈다. 총 3가지의 아이디어가 높은 점수를 받고 선택 목록에 올라가게 되었다.
개인 간 주류거래 불가능 문제 해결 아이디어
헬스 PT 수업 불만족 문제 해결 아이디어
이웃 간의 층간소음 문제 해결 아이디어
김성재 멘토님의 피드백 : 진짜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볼 것
Concept of finding creative employees for company startup Illustration by IconScout Store
수많은 5Whys와 ICE Score를 거치기 전에, 처음으로 5Whys를 접하고 팀원들끼리 즉석에서 하나씩 만들어본 주제들이 있었다.
각 주제별로 설정 배경 및 문제정의, 활용 데이터 및 데이터 활용 계획, 목표, 활용 방안 및 기대효과에 대해 써보는 시간을 가졌다. 아래의 아이디어들을 그때 나온 주제들이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현직 8년 차 PM, PO를 해오신 김성재 멘토님에게 피드백을 받았다.
아이디어는 그럴듯해 보이지만, 정확히 '무슨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지가 잘 안 보인다는 피드백을 받았다. 생각한 문제가 '진짜 문제'인지 조원들끼리 치열하게 문제제기를 해보면서 팀원 간의 의견일치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처음 시작하는 프로젝트인 경우 팀원들이 함께 '공감'할 수 있는 문제인 것이 더욱 좋다. 그리고 문제에 대해 정확히 어떤 '지표'를 개선할 수 있을지에 대해 명확해야 한다고 말씀해 주셨다. 지금 데이터가 없다면 가설을 설정해 보는 방법이 있다.
좋다고 생각되는 아이디어의 경우, 왜 아직 세상에 안 나왔을까에 대한 질문을 해보라고 해주셨다. 문제 이긴 하지만 너무 특정 사람들만이 가지는 문제이거나, 비용 대비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거나, 소비자에겐 좋지만 기업 이익에 반하기 때문이거나 하는 등 해결하기 어려운 어떤 이유가 있을 수 있다.
홍석희 멘토님의 피드백 : 비포-에프터를 확실히 보여줄 것
Product launch in business startup Illustration by IconScout Store on IconScout
틈새시장을 노릴 수 있으면서 Before-After 가 확실한 경우 조금 더 눈에 띄는 프로젝트가 될 수 있다. 실제로 문제가 해결되는 것도 임팩트이지만, 사용자의 행동을 어떻게 변화시키느냐도 임팩트로 볼 수 있다. 앱을 출시할 수 없는 상황인 경우에는 프로토타이핑 및 인터뷰를 통해 사용자의 반응을 도출할 수 있고, 비즈니스와 사용자 경험을 확실히 개선할 수 있는 쪽으로 가는 것도 좋다고 추천해 주셨다.
개인 간 주류거래 불가능 문제 해결 아이디어
법적인 문제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 좋은 아이디어로 보인다. 술 규제로 인해 많은 기업들의 스케일업 상단이 막힌 상태이므로 이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다면 임팩트가 클 것 같다. 주류의 경우 1건 거래당 단가 및 거래 수수료가 높은 편이므로 사업성도 괜찮을 것 같다. 페어링을 활용한 식당, 음식 매칭 등 다양한 확장성을 가질 수 있는 아이디어로 보인다.
헬스 PT 수업 불만족 문제 해결 아이디어
헬스 PT와 관련해서 문제를 해결하려 했던 많은 플레이어들이 있어왔다. 수요와 공급에 대한 니즈가 매칭되지 않는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듯 보인다. 만족도가 높으면 매칭 후 이탈하고, 만족도가 낮으면 앱을 이탈하기 때문에 비즈니즈적인 면에서 어려운 주제이다.
이웃 간의 층간소음 문제 해결 아이디어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한다면 임팩트가 매우 클 것 같다. 고통받는 사람 입장의 리서치는 쉽겠지만 소음을 내는 사람의 행동을 바꾸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층간 소음 문제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금 더 깊은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가람's Note
Business entrepreneur make strategy for product and funding Illustration by IconScout Store on IconScout
문제나 아이디어를 선별할 때, 직관적으로 좋고 나쁨만을 이야기하거나, 보팅(voting)으로 다수가 뽑은 아이디어만 선별할 때는 '제대로 합의된 게 맞나?' 싶은 의문이 들 때가 많았다. 그렇다고 결론이 나올 때까지 토론만 할 수는 없는 현실. 하지만 이렇게 프레임워크를 도입해 아이디어가 가지는 가치를 정량화하면서 각자 왜 그렇게 점수를 준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전보다 훨씬 정리가 잘 되고 합의가 잘 이루어졌다는 느낌이 들었다.
더불어 현직 PM으로 일하시는 멘토님들에게 피드백을 받으면서, 현직자의 시선과 비즈니스적인 시선으로 프로젝트를 바라보니 팀원끼리 이야기할 때는 몰랐던 부분도 새롭게 보였다. PM은 아이디어의 우선순위를 정할 때 어떤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생각지도 못한 불이익이 생기지는 않을지 다각도의 면에서 생각해야 하는 사람임을 새삼 깨달았다.
반응형'Product Manager > Project 01 위스키체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문제 정의하기 : 5 Whys [패스트캠퍼스 부트캠프 : PM 1기] (0) 2023.02.06